대단한 역량

한글에서 그림 파일을 확대, 축소, 회전하는 방법

테라 인사이트 2023. 12. 23. 12:48
반응형

한글 문서를 만들다 보면 그림 파일들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해당 그림 파일을 문서 맥락에 맞게 편집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림의 확대, 축소 그리고 회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그림-파일-편집-포스팅-썸네일
그림파일 확대, 축소, 회전

 

 

 

 

 

 

반응형

 

 

 

 

 

 

그림 파일 크기 조절

 

 

먼저 아래 그림은 한글 문서에 그림을 불러왔을 때의 모습입니다. 화면에 꽉 차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문서의 편집 형태에 맞게 그림의 크기를 줄이거나 해야 합니다. 

 

 

그림-파일을-선택한-화면
선택된 그림 파일

 

 

 

위 그림에서 보듯이 그림이 선택이 되면 파일 주변에 파란 점이 표시가 됩니다. 이 점들이 그림 파일의 크기를 조절할 때, 기준점으로 사용됩니다.

 

 

아래 그림은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의 기준점을 잡고, 크기를 줄인 사진입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좌우로 그림 파일의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림을-옆으로-축소한-화면
그림을 좌우로 축소

 

 

 

아래 그림은 위아래에 위치한 기준점을 잡고, 그림 파일의 크기를 조절하는 모습입니다. 이 부분의 기준점을 잡고 드래그를 통해, 위아래로 그림 크기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림을-위-아래로-축소한-화면
위 아래로 축소한 그림

 

 

 

하지만 이렇게 특정 방향으로 그림을 늘이거나 줄이면, 그림이 소위 찌그러집니다. 그림 비율이 맞지 않는 그림의 삽입은 오히려 문서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됩니다.

 

 

 

 

그림 대칭이 유지되도록 조절

 

 

그래서 우리는 가급적 아래 그림과 같이 그림 파일의 좌우 상하 비율이 유지가 되도록 늘이고,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그 방법은 아래 그림처럼 대각선에 위치한 기준점을 잡고 드래그를 하시는 겁니다.

 

 

비율을-유지하여-그림-축소하는-화면
대각선을 잡고 드래그

 

 

 

대각선 모서리에 위치한 네 부분의 기준점을 잡고, 그림 크기를 조절하면 상하좌우의 비율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필요한 그림 크기로 조절할 수가 있습니다. 

 

 

보고서에 그림 파일을 삽입할 때는 이렇게 전반적으로 크기를 줄이거나, 특정 부분의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기 하면서 적당히 보기 좋은 그림을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그림 파일 회전하는 방법

 

 

다음은 자주 사용하지는 않지만, 가끔 필요한 그림 파일 회전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첫 번째 방법은 그림 파일을 우클릭하여 개체 속성에서 같이 가장 아래에 '개체 회전'에 회전 각도를 입력하는 방법입니다. 

 

 

그림-입력-각도-회전-화면
그림 회전값 입력

 

 

 

개체 속성에서 회전각을 입력할 때에는 위 그림의 중간 즈음에 '글자처럼 취급'을 체크해제해야 하는 것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곳이 체크되어 있으면, 개체 회전 값은 아마 비활성화 상태일 것입니다.

 

 

이렇게 해도 되지만, 보다 일반적으로 손쉽게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상단 메뉴에 '회전 - 개체 회전'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저도 이 방법이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하다고 생각합니다.

 

 

개체-회전-메뉴-화면
그림 개체를 회전하는 메뉴

 

 

 

이 메뉴를 선택하고 나면, 아래 그림과 같이 그림 파일에 녹색 모서리 기준점이 표시가 됩니다. 이 녹색 점을 잡고 마우스를 움직이면, 그림 파일이 회전이 됩니다. 

 

 

마우스로-그림을-회전하는-화면
마우스로 그림 파일을 회전

 

 

 

이 방법의 장점은 각도 수치를 몰라도, 손으로 대략적으로 원하는만큼 그림을 회전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아무래도 수치를 입력하는 것은 여러 번 시행착오를 겪을 수 있으니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림 파일을 확대/축소하고, 원하는 각도로 회전하는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림 파일 열어서 이래 저래 테스트해 보면서 손에 익히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그럼 즐거운 학습 하시기 바랍니다.

 

 

 

 

 

 

2023.10.07 - [대단한 역량] - 한글 그림번호를 본문에서 연결하는 방법 (상호 참조 기능)

 

한글 그림번호를 본문에서 연결하는 방법 (상호 참조 기능)

보고서를 작성하다 보면, 그림 파일들이 많이 들어갑니다. 해당 본문에서는 이 그림들을 설명하는 문구가 많이 작성되는데요. 아무래도 그림들이 많아지면, 본문에서 언급한 그림번호와 꼬이는

terra-insight.tistory.com

 

 

 

 

 

 

 

2023.06.29 - [대단한 역량] - 한글에서 그림 캡션 번호 오류를 수정하는 방법

 

한글에서 그림 캡션 번호 오류를 수정하는 방법

많은 페이지의 보고서 작업을 하다 보면, 그림 캡션 기능을 사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작성하다 보면 가끔 그림 캡션 번호가 틀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그림과 표 등의 객체들의 속

terra-insight.tistory.com

 

 

 

 

 

 

 

2023.05.26 - [대단한 역량] - 한글 표에 그림 여러 개 넣는 간단한 방법

 

한글 표에 그림 여러 개 넣는 간단한 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글 표를 이용하여, 그림들을 여러 개 넣는 간단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보고서나 문서 작업들을 하다 보면 그림을 여러 개를 예쁘게 만들어 넣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

terra-insigh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