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를 작성할 때, 글자 옆 상단 혹은 하단에 작은 기호나 숫자가 들어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위첨자, 아래첨자라고 부르는데요. 오늘은 위첨자와 아래첨자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첨자와 아래첨자
간혹 문서작업을 하다 보면 단위와 같이 특수하게 작성되는 문자들이 있습니다. 우리는 무심결에 봤지만, 해당 문자들은 위첨자와 아래첨자라는 형태로 작성이 됩니다. 아래는 일반적으로 첨자 기능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입니다.
미터, 제곱미터, 퍼스트, 세컨드 등은 위와 같이 그냥 쓰여도 이해는 될 테지만, 정확한 표현은 아닙니다. 특히 회사와 같은 곳에서 저렇게 작성하면, 바로 기본이 부족한 사람으로 여겨집니다.
우리는 사소한 문서라도 정확한 기능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문자들을 작성하여야 합니다. 그럼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첨자, 아래첨자에 대한 기능을 알아보겠습니다.
위첨자 사용법
세상만사가 그렇기는 하지만, 알면 간단한데 이 첨자 작성 기능도 모르면 정말 난감하게 됩니다. 그럼 차근차근 첨자를 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아래 그림과 같이 해당 문자를 드래그로 선택합니다.
그리고 아래 그림과 같이 '글자 모양' 메뉴로 들어갑니다. 참고로 '글자 모양'은 드래그 상태에서 'ALT+L' 단축키를 누르면 됩니다. 중간 즈음 위치에 보면 아래 그림처럼 첨자 표시를 할 수 있는 버튼들이 보입니다. 여길 선택 하시면 됩니다.
원하는 첨자를 선택하시고, 텍스트로 돌아가보면 아래처럼 숫자 2가 윗첨자 형태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보던 단위를 나타내는 형태입니다.
그 하단에 다른 문자 형식들도 위첨자 형태로 바꾸어 보겠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대로 '글자 모양' 메뉴를 열어서 하셔도 되지만, 아래 그림처럼 단축키를 눌러서 하시면 편리합니다. 단축키는 'SHIFT + ALT'를 누른 상태에서 'P'를 누릅니다.
위첨자로 만들 문자를 드래그하고, 위의 단축키를 누르시면 간단히 됩니다. 아주 쉽습니다. 이제는 메뉴를 선택한다고 별도로 시간을 들이지 않고, 간단히 타이핑 치듯 첨자를 쉽게 작성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아래첨자 사용법
위첨자를 작성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제는 아래첨자입니다. 한글을 많이 작성해 보시는 분들은 느낌이 오실 것입니다. 아래첨자도 위첨자와 거의 동일하게 작성됩니다. 다만 단축키는 약간 다르겠지요.
아래 그림은 아래첨자를 사용하는 문자들의 예시입니다. 물을 나타내는 H2O와 변수 등을 지정할 때 사용하는 특정 문자 옆의 작은 숫자들입니다. 여기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아래처럼 변환 대상 문자를 드래그로 선택합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단축키 'SHIFT + ALT'를 누른 상태에서 'S'를 누릅니다. 그럼 아래쪽으로 작은 문자가 만들어집니다. 위첨자와 동일한 원리로 기능하니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이제 각자가 실제로 한글 파일을 열어보고, 실습해 보시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알지 않습니까, 눈으로만 보고 넘어가면 실제 해볼 때 무엇인가 안됩니다. 지금 바로 해보시고, 손에 익히시면 좋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단위, 기호 등을 쓸 때 작성하는 위첨자, 아래첨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복 연습과 실습으로 문서를 회사에서 가장 잘 작성하시는 분이 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한글에 대한 더 많은 스킬은 아래 글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3.10.07 - [대단한 역량] - 한글 그림번호를 본문에서 연결하는 방법 (상호 참조 기능)
한글 그림번호를 본문에서 연결하는 방법 (상호 참조 기능)
보고서를 작성하다 보면, 그림 파일들이 많이 들어갑니다. 해당 본문에서는 이 그림들을 설명하는 문구가 많이 작성되는데요. 아무래도 그림들이 많아지면, 본문에서 언급한 그림번호와 꼬이는
terra-insight.tistory.com
2023.08.04 - [대단한 역량] - 한글 표에서 블록 계산식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더하기, 평균 등)
한글 표에서 블록 계산식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더하기, 평균 등)
한글에서도 액셀처럼 숫자가 들어가는 표에서는 더하기, 곱하기, 평균 등 계산식을 적용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아십니까. 이 기능은 블록 계산식이라고 하는데, 자주 쓰이지는 않지만 가끔 필요할
terra-insight.tistory.com
2023.06.27 - [대단한 역량] - 한글 표 안에서 시프트 탭(Shift + Tab) 안되는 경우 해결 방법
한글 표 안에서 시프트 탭(Shift + Tab) 안되는 경우 해결 방법
한글 문서 작업을 하다보면, 문단의 앞줄을 맞추는 시프트 탭 기능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표(table) 안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가끔 해당 기능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시
terra-insight.tistory.com
'대단한 역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액셀에서 원하는 인쇄 영역을 설정하는 간단한 방법 (1) | 2024.05.03 |
---|---|
액셀 행과 열 숨기기 기능을 사용하는 간단한 방법 (숨기기 취소 포함) (1) | 2024.04.29 |
액셀 표의 셀 높이/너비 설정하는 간단한 방법 (0) | 2024.04.24 |
한글 문서에 수정 이력 정보 표시 및 해제하기 (변경 내용 보기) (1) | 2024.04.21 |
액셀 복사한 수식에 파일명/파일경로가 복사되는 문제 해결 방법 (2) |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