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단한 역량

한글 문서의 '각주와 미주' 언제 어떻게 사용할지 정리해보자.

테라 인사이트 2023. 8. 15. 17:53

보고서를 쓰다 보면 내용을 작성하면서 그 내용의 출처를 밝히거나, 추가적으로 보완 설명을 달기 위한 주석이라는 기능을 사용할 때가 있습니다. 이 주석 기능은 각주와 미주라는 이름으로 나누어지는데요. 오늘은 이 기능들을 언제,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각주-미주-사용-포스팅-썸네일
각주와 미주를 사용해보자

 

 

 

 

 

각주 사용하는 방법

 

 

 

본론으로 먼저 들어가 각주를 사용하는 방법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한글에서 '입력 - 주석 - 각주'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보통 각주를 넣고 싶은 곳에 커서를 두고 <Ctrl +N, N> 단축키를 누르시면 간단합니다.

 

 

각주-메뉴-화면
각주의 메뉴 위치

 

 

 

그럼 아래와 같이 커서 위치에 작은 숫자가 생기며, 해당 페이지 아래에 그 단어에 대한 주석을 작성할 수 있게 나옵니다. 저는 아래에서 인공지능이라는 단어를 보완 설명하기 위해, 나무위키 사이트에서의 정의를 주석으로 달아두었습니다. 

 

 

각주가-표시된-화면
각주가 작성되었다.

 

 

 

이렇게 각주를 사용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어떤 문장이나 단어의 출처를 밝히거나, 보완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 각주를 주석으로 사용한다. 

 

 

 

 

 

미주 사용하는 방법

 

 

 

미주를 주석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각주의 거의 유사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입력 - 주석 - 미주'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미주의 단축키는 <Ctrl + N, E>입니다.

 

 

미주-메뉴-화면
미주 기능 메뉴

 

 

 

그럼 아래 그림과 같이 각주와 마찬가지로 해당 커서 위치에 작은 숫자가 나오며, 미주를 작성하는 공간이 활성화됩니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미주로 실행되는 주석은 해당 문서의 가장 끝 페이지 아래에 위치하게 됩니다.

 

 

미주가-본문에-표시되는-화면
미주가 표시되는 형태

 

 

 

위 그림에서 보시면, 아이비리그라는 단어에 미주를 표시했지만, 해당 페이지에 이에 대한 주석이 없습니다. 미주는 아래 그림처럼 문서의 마지막 페이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미주-위치를-표시한-화면
미주의 주석 위치

 

 

 

이로써 각주와 미주를 사용하여, 한글 문서에 주석을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아주 단순합니다. 둘 다 특정 단어에 대해 출처나 보완 설명을 할 때 사용합니다. 다만 각주는 해당 페이지에, 미주는 마지막 페이지에 그 내용이 나옵니다.

 

 

 

 

 

각주와 미주 어떤 것을 사용할까.

 

 

그럼 여기서 드는 의문이 있습니다. 각주와 미주를 어떤 상황에서 구분 사용해야 하는 것일까요. 전문가들은 물론 법칙이 있다 하시겠지만, 10년 이상 보고서 작성을 해오는 입장에서는 사실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저는 해당 주석의 중요성이랄까요, 본문을 보면서 바로바로 확인이 필요한 주석이라면 각주를 사용합니다. 다만 굳이 안 봐도 내용이나 흐름 파악에 문제가 없다고 생각되면 미주를 사용합니다. 나중에 굳이 찾아볼 사람만 보라는 의미이니다.

 

 

그리고 가급적 각주와 미주를 만들지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어떤 보고서를 읽어나갈 때, 본문 이외에 아래에 표시되는 각주나 미주는 아무래도 가독성과 집중력을 떨어뜨린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것은 규칙이 이렇다기보다 각자의 스타일이나 심리적인 측면에 기인한 제 의견입니다. 그래서 저는 타인의 보고서에서 특정 내용을 인용했는데, 이것을 그대로 사용하면 연구윤리를 위배하는 것이므로 꼭 출처를 밝히고자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아래처럼 각주/미주 모양을 편집하는 기능도 있습니다만, 저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기본으로 제공되는 각주, 미주 기본 스타일도 충분히 보고서의 가독성을 해치지 않고 보기 좋습니다.

 

 

각주와-미주-모양을-설정하는-메뉴-화면
각주와 미주 모양 설정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각주와 미주는 출처를 달거나 보충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는 아주 쉬운 기능입니다. 그리고 각주와 미주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는 각자의 판단이 중요합니다. 저는 정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에 또 손쉽고 유용한 팁을 가져오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3.07.30 - [대단한 역량] - 한글 특정 한 페이지만 가로로 설정하는 방법 (구역 나누기)

 

한글 특정 한 페이지만 가로로 설정하는 방법 (구역 나누기)

한글 문서 작업을 하면, 우리는 보통 세로 형태로 문서 작업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보고서 등을 작성하면서 언젠가는 옆으로 긴 표(table)나 그림을 넣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그 페

terra-insight.tistory.com

 

 

 

 

 

2023.05.21 - [대단한 역량] - 한글 표(Table) 잘림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

 

한글 표(Table) 잘림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

이번 포스팅은 다시 한글 표(Table)에 관련된 팁입니다. 아직 표를 다루는데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1 페이지를 넘어가는 표가 갑자기 잘리는 현상을 경험하셨을 것입니다. 이럴 경우 간단하게 표

terra-insight.tistory.com

 

 

 

반응형